지난 시간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만든 후 인터넷에 검색되게 하려면 검색 사이트에 본인의 블로그를 등록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.
지난 글 참고 : 2019/05/13 - [티스토리+애드센스] - 티스토리 블로그 인터넷에서 검색되게 하는 방법
그리고 이때 본인 블로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이트맵을 만들어 제출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.
각 검색 사이트의 웹마스터도구에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기 전에
그보다 훨씬 중요한 사이트맵을 어떻게 제대로 만드는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.
아마 일반 타 블로그에서는 웹마스토 도구 등록 부분에 사이트맵 작성을 포함해서 휙~ 지나갔을 텐데요,
일반 블로그에서 다루지 않는 https://, priority 등에 신경쓰며 제대로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과
만든 사이트맵을 티스토리에 첨부하여 올린 뒤, 어떻게 첨부 파일 주소를 알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려드립니다.
<사이트맵이란?>
구글의 설명에 따르면,
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,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각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.
그냥 쉽게 블로그 구조를 나타내주는 지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작성해 놓은 글(page)이 많으면 sitemap 작성시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됩니다.
<사이트맵 작성 사이트 비교>
여러 곳이 있습니다. 4개 이상 직접 작성해 본 후기 말씀드립니다.
1. http://www.check-domains.com/sitemap/index.php
무제한 페이지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지만, 너무 느리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.
블로그 내 글들의 중요도를 알려주는 priority 를 depth 에 따라 자동으로 줄여주는 기능은 장점입니다.
2. http://www.web-site-map.com/xml_sitemap.php
1번과 마찬가지로 무제한 페이지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습니다.
게다가 작성 속도도 빠르고 상세 설정도 가능합니다만, URL 주소가 http:// 로만 됩니다.
현재 티스토리는 보안이 강화된 https:// 를 쓰고 있기 때문에 전 추천하지 않습니다.
3. https://smallseotools.com/xml-sitemap-generator/
여긴 절대 하지 마세요.
시간 설정 방법이 네이버와 달라 구글에는 등록이 되지만 네이버에서는 오류가 발생한다며 등록되지 않습니다.
이 사실을 몰라 몇시간을 검색했던 아픔이 있습니다.
제가 사이트맵을 만든 곳입니다.
상세 설정도 없고, 500 pages 까지만 생성이 되지만, 빠르고 https:// 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tag, 카테고리 등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전 이곳만을 이용하고 있습니다.
반드시 More options 을 누른 뒤, Change Frequency 를 always 로 변경 후 작성하시기 바랍니다.
<작성된 사이트맵 오류 수정하기>
이렇게 작성된 사이트맵을 바로 블로그에 올려도 되지만,
블로그 내 글들의 중요도를 알려주는 priority 가 조금 이상하게 작성될 수 있으므로 사이트맵 검토를 추천합니다.
일례로, 작성된 사이트맵을 열어보면,
이런 식으로 동일한 수준의 글인데 2번글은 priority 가 0.8 로, 17번 글은 0.64로 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
동일 수준의 글이므로 전 모두 0.8 로 수정하여 사이트맵을 재작성합니다.
수정을 위해서는 단순히 사이트맵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 하여 편집을 선택하고, 노트패드에서 해당 부분을 0.8 또는 원하는 수치로 수정 후 저장 하시면 됩니다.
단, 노트패드의 경우, 오른쪽으로 본문이 늘어질 수 있으므로, Ctrl+F 기능을 사용하여 원하는 부분을 잘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
<사이트맵 파일 티스토리에 올리기>
작성된 사이트맵 파일은 네이버나 구글 등 검색 사이트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,
티스토리에 올린 뒤, 파일 주소를 네이버나 구글 등 검색 사이트에 알려주는 것입니다.
따라서 티스토리에 사이트맵 파일을 첨부하여 글을 작성 후, 파일의 주소를 알아내야 합니다.
티스토리 파일 첨부 후 첨부된 파일의 주소를 알기 위해서는
새로운 에디터가 아닌 예전 에디터로만 글을 작성해야 합니다.
그러기 위해서는
1) 공지글 작성, 또는
2) 콘텐츠 설정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로 수정한 뒤 글을 쓰셔야 합니다.
전 사이트맵이라는 제목으로 공지글 비공개 작성을 활용하였습니다
공지글 작성 - 파일 첨부 - html 체크 하면 파일 주소를 알 수 있습니다. 파일 주소 확인 후 비공개 발행하시면 됩니다.
사진에서 형광색 칠한 부분 cfile1.uf@~~~~.xml 까지가 첨부된 사이트맵의 주소 입니다.
사실, 많은 티스토리 블로그가 예전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현재 실정과 맞지 않는 글들이라 이 부분 자세히 설명해 드렸습니다.
여기까지가 사이트맵을 제대로 만들고 티스토리에 올린뒤 주소를 알수 있는 방식입니다.
다음에는 검색사이트에 본인의 티스토리를 검색시킬수 있도록 웹마스터 도구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
도움 되셨다면 ♥ 공감+α 꾹 부탁드리며,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 주세요 :)
<긴급 추가 2020년 4월 27일>
2020년 4월 27일 부로 티스토리 측에서 사이트맵을 자동으로 생성해 줍니다.
물론 이 글에서 설명한 것 처럼 정밀하게 만들어지지는 않지만, 편하게 만들수 있으므로 이 글이 어렵다 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글 참고하셔서 쉽게 사이트맵을 등록하시면 됩니다.
'티스토리+애드센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네이버 검색누락 해결방법 총정리 (73) | 2019.06.07 |
---|---|
애드센스 약 한 달 차(25일 차) 수익 보고 (0) | 2019.06.04 |
구글에 티스토리 등록 및 검색 노출시키는 방법 (49) | 2019.05.30 |
네이버에 티스토리 등록 및 검색 노출시키는 방법 (0) | 2019.05.30 |
티스토리 Whatever 스킨에 카테고리 넣는 방법 따라하기 (40) | 2019.05.25 |
티스토리 한달차, 애드센스 10일차 수익 보고 및 애드센스 기밀유지 약관 안내 (2) | 2019.05.17 |
오류 덩어리 티스토리 (0) | 2019.05.17 |
티스토리 블로그 인터넷에서 검색되게 하는 방법 (8) | 2019.05.14 |